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한국교통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Professor, School of Architectur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hungju 27469, Rep. of Korea)
  2. 한밭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58, Rep. of Korea)
  3. GS건설(주) 전임 (Functional Manager, GS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Corp., Seoul 03159, Rep. of Korea)
  4. 한성 PCC(주) 이사 (Director, HANSUNG PC Construction Corp., Seongnam 13529, Rep. of Korea)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수직철근 연결상세, 볼트연결, 주름관 이음, 내진성능
precast concrete wall, types of vertical connection, bolt connection, corrugate connection, seismic performance

1. 서 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은 1960년대에 국내에 도입된 이후 1990년대부터 정부의 주택 200만 호 건설을 위한 시공기술로써 일련의 연구개발(Lee 1993; Seo et al. 1994a, 1994b)(9,13,15)을 통하여 많은 아파트 건물에 적용되었다. 이후 그 적용사례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지만, 최근에는 일체식 철근콘크리트(이하, RC)와 복합된 형태로 지하주차장과 대형 물류센터, 반도체 공장, 경기장 등과 같은 많은 구조형식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PC 공법이 다시 활성화되고 있는 이유는 최근 인건비의 상승과 숙련공의 부족현상이 심화되고 있음에 따라 현장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식건설공법 특히 PC 공법이 그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PC 구조에서 접합부는 부재 상호 간에 응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연속성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벽체 내 인장철근의 연결이 매우 중요하다. 벽식구조에서 상하벽체의 수직철근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식은 Fig. 1과 같이 통상 스플라이스 슬리브, 박스철물 등과 같은 기계적 이음, 그리고 주름관 내부 철근 겹침이음, 용접방식 등이 있다. 이중 PC 구조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스플라이스 슬리브 연결 방식이다. 하지만 이 방식은 연결철근이 정착된 슬리브 옆의 관을 통하여 내부에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슬리브 내부를 충전함으로써 철근들을 정착시키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충전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철근의 설계강도가 충분하게 확보되지 못하게 된다(Ahn et al. 2003; Oh and Moon 2013)(3,10). 박스형 연결재를 사용하는 방식은 상부벽의 하부에 매립된 박스형 철물을 통하여 상하부 철근을 볼트 체결 형태로 연결한 뒤 박스 내를 무수축 몰탈로 채우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볼트 체결로 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시공과정 중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

Fig. 1. Connection detail of vertical bars at horizontal joint

../../Resources/kci/JKCI.2020.32.6.541/fig1.png

점이 있다. 주름관 이음은 상부벽 생산 시 설치된 빈 주름관에 하부벽에서 돌출된 수직보강철근을 끼운 뒤 모르타르 등으로 내부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겹침이음길이 확보를 위한 주름관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서 조립작업성이 다소 불편하지만, 구조성능 확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벽식 PC 구조에서 벽체 내의 철근은 상하층으로 모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 2개의 수직철근이 연결재로 연결된다. 이 수직철근이 접합부에서 적절하게 연결되지 않을 경우, 즉 철근 연결장치에서 철근의 이음이 부실한 경우, 상하벽으로 전달되는 인장응력 전달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평접합부에서의 휨강도가 발현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수평접합부에서 이들 수직철근 연결부는 전단에 대하여 다월 철근(dowel bar) 역할로 전단마찰저항하므로 충분히 정착 또는 이음되지 않을 경우, 구조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PC 구조의 안전성 확보에 가장 중요한 접합부의 일체성 확보를 위하여 전술한 철근의 이음부에서 구조성능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벽체 수직철근의 연결상세 중 박스철물의 볼트 체결을 통한 기계적이음 상세와 주름관을 이용한 겹침이음 상세를 적용하여 현행 설계기준에 따라 설계한 PC 벽체의 내진성능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2. PC 벽체 횡력 실험

2.1 실험체 계획 및 제작

수평접합부 수직철근의 두 가지 이음방식에 따른 PC 벽체의 반복횡력에 대한 내진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평접합부가 있는 PC 벽 실험체를 제작하여 구조실험을 하였다(Kim 2018)(7). 실험 벽체의 규격은 실제 대상 건물의 1층 높이 3 m와 기본 벽체 길이 2 m를 기준으로 계획하였다. 수평 접합부 설계 시에 압축력은 고려하지 않았고, 두 가지의 설계조건, 즉 1) 현행기준(KCI 2017)(6)에 따라 대상 건물의 벽체에 작용하는 응력에 대한 강도설계와 2) ACI 318-19(1) 18.5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 전단벽에 요구되는 설계조건(ACI 2019)(2)을 적용하여 접합부 항복강도의 1.5배가 발휘될 수 있도록 설계조건을 고려하였다.

PC 벽체 구조 성능 검증을 위한 실험체 설계는 저층형 벽식 구조에 대한 설계하중과 재료강도를 입력하여 나온 해석 결과를 토대로 산정하였다. 전단력과 모멘트가 가장 큰 하중조건을 선정하여 수평접합부에 대한 인장과 전단을 검토 후 수직 철근 연결부의 철근 규격 및 개수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실제 벽식 구조물과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하기 위해 수평접합부에 슬래브를 타설하였다. Table 1은 실험체 일람을 나타내며 휨강도는 단면해석을 통해 산정된 횡방향 최대내력($H_{n}$)이고 전단내력은 설계기준에 따라 계산된 최대내력($V_{n}$)이다.

Table 1. Detailed information on PC specimens

Specimens

name

Design of horizontal joint

Normal strength

(kN)

Reinforcements at horizontal joint

$H_{n}$

$V_{n}$

Connector for vertical continuity

Dowel bar

PCWP-1*

$S_{y}$

229

686

2-HD25 (SUMD 30H)

1-HD22

(Corrugate $\phi$60, $L_{c}$=850, $L_{n}$=810)

PCWP-2*

1.5 $S_{y}$

353

688

2-HD25 (SUMD 30H)

2-HD25 (splice sleeve)

2-HD22

(Corrugate $\phi$60, $L_{c}$=850, $L_{n}$=810)

PCWC-1

$S_{y}$

143

490

2-HD25

(Corrugate $\phi$80, $L_{c}$=1,300, $L_{n}$=1,200)

1-HD22

(Corrugate $\phi$60, $L_{c}$=850, $L_{n}$=810)

PCWC-2

1.5 $S_{y}$

249

687

2-HD25

(Corrugate $\phi$80, $L_{c}$=1,300, $L_{n}$=1,200)

4-HD22

(Corrugate $\phi$60, $L_{c}$=850, $L_{n}$=810)

$S_{y}$ is yield strength at horizontal joint, $H_{n}$ and $V_{n}$ are horizontal load due to flexural moment and shear force, respectively, $L_{c}$ and $L_{n}$ are length of the corrugate and the bars inside, respectively

*These two specimens are re-evaluated in this paper from the previous test result (Kim et al. 2019)(8)

Fig. 2. Dimensions and reinforcement details of wall specimens (unit: mm)

../../Resources/kci/JKCI.2020.32.6.541/fig2-1.png../../Resources/kci/JKCI.2020.32.6.541/fig2-2.png

../../Resources/kci/JKCI.2020.32.6.541/fig2-3.png../../Resources/kci/JKCI.2020.32.6.541/fig2-4.png

Fig. 2는 실험체의 배근 상세를 나타낸다. 수평접합부에 요구되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PCWP-1 실험체는 2개의 박스형 연결재(SUMO 30H)로 벽체 전체 높이에 대하여 연속되는 HD25 철근을 연결하고, 접합부의 수평전단에 대한 보강을 위해 벽체 중앙부에 직경 60 mm, 길이 850 mm인 주름관 연결방식으로 HD22 철근 1개(길이 810 mm)를 다월 철근으로 추가 설치하였다. PCWP-2 실험체는 수평접합부의 강도를 1.5배 상승시킨 상세이다. 벽체 전체 높이에 대하여 연속되는 2개의 HD25 철근에 대해서는 2개의 박스형 연결재(SUMO 30H)로 연결하고, 추가로 2개의 HD25 철근을 스플라이스 슬리브로 연결하였다(PGC 2014). 또한 수평접합부 전단보강을 위한 다월 철근으로 두 개의 HD22 철근을 주름관 연결방식으로 배치하였다. 이 두 실험체는 기존 연구(Kim et al. 2019)(8)에서 실험내용이 소개되었지만, 본 논문에서는 내진성능평가를 중심으로 실험결과를 재분석하였다.

PCWC-1 실험체는 하부벽 양 단부에 HD25 철근을 돌출시켜 상부벽 내 직경 60 mm, 길이 1,300 mm인 주름관 내에 위치한 뒤 그라우트로 고정하고 인접한 벽체 내 철근과 겹이음으로 연결된다. 중앙부에는 전단저항을 위하여 동일한 직경이지만 길이가 850 mm인 주름관 내에 하부 돌출 철근(HD22)이 배치되어 있다. PCWC-2 실험체는 수평접합부의 강도를 1.5배 상승시킨 실험체로서 길이 850 mm 주름관 내 정착하

Table 2.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nd grout used in wall specimens (unit: MPa)

Upper wall

Lower wall

Foundation

Topping

Slab

Grout

34.3

(30)

35.2

(30)

35.2

(30)

28.1

(24)

28.0

(24)

54.5

(60)

*The value in bracket is design strength

Table 3. Tensile strength of reinforcements used in wall specimens

Diameter

(type)

Design yield strength (MPa)

Test result (MPa)

Yield strength

Ultimate strength

D10 (SD400)

400

534.6

654.5

D13 (SD400)

400

547.5

657.5

D22 (SD500)

500

572.7

688.3

D25 (SD500)

500

558.7

685.7

Fig. 3. Test setup

../../Resources/kci/JKCI.2020.32.6.541/fig3.png

는 하부철근을 4개 배치하고 인접한 벽체철근과 겹침이음하는 개념으로 연결하였다.

실험체에 작용하는 횡력의 도입을 위해 벽체 상부에 보를 제작하였다. 벽체의 수평 수직 철근은 D10을 사용하였고, 하부벽체에서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상부벽체에 비하여 2배 가량의 수직 철근을 배치하였다. 또한 연결재 주변에는 와이어 메시 형태로 보조철근을 배치하여 연결부 주변에서 취성적인 파괴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사용된 콘크리트, 충전 그라우트, 철근의 재료강도는 Table 2 및 3과 같다. 콘크리트와 충전 그라우트는 제작 후 28일에 측정한 강도이다.

2.2 실험체 설치 및 가력방법

실험체는 Fig. 3과 같이 반력 슬래브에 고정시키고 상부보에 벽체 길이방향으로 반복하중을 가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체 상부에서 1,000 kN 용량의 액추에이터(actuator)를 가력 프레임 중심축 위치에 설치한 후 변위제어를 통하여 점증 가력하였다. 또한 반복가력 시 액추에이터의 무게로 인해 발생하는 비대칭가력을 방지하기 위해 도드레를 사용하여 무게추를 설치하였다. 상부보와 하부 슬래브에 각각 두 개의 볼 지그를 설치하여 벽체의 면외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실험 도중 발생하는 각 부위에서의 변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Fig. 4와 같이 LVDT를 설치하였다. 횡변위를 측정하기 위해 상부보와 기초에 각각 설치하였고, 전단변위를 측정하기 위

Fig. 4. Locations of LVDTs

../../Resources/kci/JKCI.2020.32.6.541/fig4.png

Fig. 5. Loading history (drift control)

../../Resources/kci/JKCI.2020.32.6.541/fig5.png

해 상부벽체의 소성 힌지 영역에 설치하였다. 상부벽체, 하부벽체, 수평접합부 내 주근에 변형률 게이지를 부착하였다. 횡력의 도입은 변위제어방식으로 하였으며 이때의 재하이력은 ACI 550.6(ACI 2019)(2)에 명시되어 있는 원칙에 따라 Fig. 5와 같이, 실험체 길이에 대한 변위비로 0.03~6.67 %의 범위로 하여 각 스텝 당 3 사이클(cycle) 씩 계획하였다.

3.3 실험결과

3.3.1 균열 및 파괴양상

수평접합부 수직철근 연결이 강재박스로 연결된 PCWP-1과 PCWP-2 실험체는 모두 변위각 0.03 %의 (+)정가력 시 상부벽체와 슬래브의 접합면에서 수평균열과 상부 벽체에서 휨균열이 발생하였다. 벽체에 사선 방향의 전단균열 발생은 각각 0.29 %와 0.11 %에서 나타났다. PCWP-1 실험체는 벽체 사선방향 균열이 횡변위 증가에 따라 일부 확장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최종적으로는 하부벽체의 단부 콘크리트 압축파괴에 의한 탈락과 인장측에서 수평접합부가 벌어지는 들림(rocking) 거동이 지배하였다. 변위각 1.43 %에서 박스 하부 체결용 볼트가 분리되어 실험을 종료하였다. 반면에 PCWP-2 실험체는 횡변위 0.50 %에서부터 수직철근이 항복하였고 변위각 2.00 %에 도달할 때까지 전단균열이 소성 힌지 구간을 넘어서까지 계속해서 확장되면서 균열폭이 증가하여 콘크리트가 박리 및 탈락되는 양상을 보였다. 변위각 2.50 %에서 급격하게 하중이 저하되어 실험을 종료하였다. PCWP-1 실험체는 벽체가 파괴되기 전에 수평접합부에서 들림 거동이 지배하였지만, PCWP-2 실험체는 벽체가 파괴되는 양상을 보였다.

PCWC-1과 PCWC-2 실험체의 최초균열도 변위각 0.05 %와 0.03 %에서 상부벽체와 슬래브의 계면 수평접합부에서 수평균열로 나타났다. 벽체 전단균열은 각각 변위각 0.40 %와 0.22 %에서 소성 힌지 구간에서 발생하였다. PCWC-1 실험체는 변위각 1.00 %에서부터는 슬래브가 좌우로 이탈하고 상부벽체가 들리는 양상을 보이고 변위각 2.50 %에서 수평접합부의 들림 파괴로 실험을 종료하였다. PCWC-2 실험체는 변위각 0.29 %에서부터 수직철근이 항복하기 시작하고 변위각 0.40 %에서는 상부 벽체가 들리며 전단균열이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변위각 1.43 %에서 압축파괴에 의해 하부 슬래브가 좌우로 이탈하는 양상을 보였다. 변위각 2.50 %까지 전단균열이 상부벽체의 소성 힌지 구간 너머까지 발생하며 벽체의 전단 파괴로 실험을 종료하였다.

모든 실험체의 균열 및 최종 파괴상황은 Fig. 6과 같다. 수

Fig. 6. Failure shape of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0.32.6.541/fig6-1.png../../Resources/kci/JKCI.2020.32.6.541/fig6-2.png

평접합부 균열은 접합부 추가보강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실험체에서 0.03~0.05 %, 벽체 휨균열은 0.08~0.11 %의 변위각에서 발생하였다. 반면에 벽체 전단균열의 발생은 PCWP-1과 PCWP-2 실험체가 각각 0.29 %와 0.11 %, PCWC-1과 CWC-2 실험체는 각각 0.4 %와 0.22 %에 발생하였다. 즉 주름관 이음인 경우와 접합부를 1.5배 강하게 설계한 경우 전단균열 발생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3.2 횡력-횡변위 관계

Fig. 7은 각 실험체의 횡력-횡변위 관계 그래프를 나타낸다. 그래프 상의 층간변위비는 상부보 중심의 변위계로 측정된 값을 측정 높이로 나눈 값이다. 그래프에 표시된 부재의 항복 횡 하중은 최대하중의 75 %로 산정하였다(Park 1989)(11). PCWP-1 실험체는 1.0 %에서 최대하중에 도달하였으며 정가력과 부가력 시 최대하중은 각각 237.45 kN, 239.32 kN이다. 파괴하중은 1.43 %의 변위각에서 정가력과 부가력 각각 237.06 kN과 233.53 kN으로서, 최대하중의 약 0.2 % 및 2.4 % 감소한 값이다. PCWP-1 실험체의 파괴는 박스 하부 체결용 볼트가 충분한 여장길이 미확보로 인해 인발됨에 따라 정확한 파괴하중은 측정할 수 없었다.

Fig. 7. Horizontal load-drift curve

../../Resources/kci/JKCI.2020.32.6.541/fig7-1.png../../Resources/kci/JKCI.2020.32.6.541/fig7-2.png

../../Resources/kci/JKCI.2020.32.6.541/fig7-3.png../../Resources/kci/JKCI.2020.32.6.541/fig7-4.png

PCWP-2 실험체는 변위각 1.43 %에서 최대내력 374.75 kN(정가력)과 383.77 kN(부가력)에 도달하였다. 이들 값은 PCWP-1 실험체의 최대하중에 비해 약 58 % 및 60 % 높은 값이다. 2.0 %의 변위각에서 파괴하중에 도달하였으며 그때의 정가력과 부가력 하중은 각각 368.58 kN과 352.21 kN이다. 2.5 %에서 PCWP-1 실험체와 같이 박스 하부 체결용 볼트의 연단거리 부족에 따른 인발현상으로 인해 하중이 급격하게 저하되었다. PCWP-1과 PCWP-2 실험체 모두 하중 반전 후 핀칭현상이 관찰되었다.

PCWC-1 실험체는 정가력 시 2.0 %에서 최대하중 239.61 kN, 부가력 시에는 1.0 %에서 최대하중 218.33 kN을 보였다. 정가력과 부가력 모두 2.50 %에서 218.83 kN와 215.70 kN으로 파괴하중에 도달하였다. 전체적으로 부재 항복 이후 최대내력 시까지 완만한 내력 상승과 충분한 변형능력을 보였다.

PCWC-2 실험체는 정가력 및 부가력 모두 1.43 %에서 최대내력 387.39 kN(정가력)과 373.77 kN(부가력)에 도달하였다. 이들 값은 PCWC-1 실험체의 최대하중에 비해 약 62 % 및 71 % 높은 값이다. 변위각 2.0 %에서 파괴에 도달하였으며, 이때의 하중은 382.79 kN과 364.95 kN이다.

모든 실험체의 포락곡선을 함께 나타내면 Fig. 8과 같다.

Fig. 8. Envelop curve

../../Resources/kci/JKCI.2020.32.6.541/fig8.png

현행기준(KCI 2017)(6)에 따라 설계한 PCWP-1과 PCWC-1 실험체 그리고, 접합부를 1.5배 강하게 설계한 PCWP-2와 PCWC-2 실험체는 서로 변형능력을 제외하고는 거의 유사한 거동을 보인다. 이와 같은 변형능력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PCWP-1과 PCWP-2 실험체의 벽체 조립 시 하부 볼트가 연결되는 수평접합부 내 박스 너트 조임이 충분하지 않게 시공되었고 이에 의하여 수평접합부 상하 연결부가 조기에 분리되었기 때문이다. 박스형 강재 볼트이음과 주름관 이음으로 설계한 벽체들 사이에는 변형능력을 제외하고는 거의 유사한 거동을 보이며 박스 내 볼트연결부 문제가 발생한 PCWP-1 실험체를 제외하고는 2 % 이상의 변형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3.3.3 내진성능의 평가

최근 미국에서는 PC 구조에 대한 내진설계와 관련하여, RC 구조에 대응되는 구조성능 보유 여부를 실험적으로 평가하여 설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PC 벽은 형상($h_{w}/l_{w}$)에 따라 변형성능의 차이를 보이게 되므로 이를 반영하여 식(1)을 사용하여 한계 변형성능을 산정할 수 있다. 이 식은 Seo et al.(1998)(14)이 기존 실험결과 분석과 이론적인 접근으로 제시한 식으로서 계수 $\alpha$는 0.67이다. FEMA(2003)(4)에서는 RC 벽에 대응되는 PC 벽의 한계변형성능을 계산할 때 이 식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Hidalgo et al.(2002)(5)은 Seo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가 실험체들을 분석하여, 계수 0.67 대신에 0.8과 최소 변형각을 0.9로 제시하였으며 ACI 550.6(ACI 2019)(2)에서는 이 식을 PC 벽의 한계 변형각 계산에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1)
$1.0\le\alpha[h_{w}/l_{w}]+0.5\le 3.0$

여기서, $h_{w}$와 $l_{w}$는 각각 벽체의 높이와 길이이다.

Fig. 8의 포락곡선에 식(1)로 계산한 한계 변위각을 나타내었다. PCWP-1 실험체를 제외하고 모든 실험체가 2 % 정

Fig. 9. Stiffness variation

../../Resources/kci/JKCI.2020.32.6.541/fig9.png

도에 해당하는 변형능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들 값은 식(1)로 산정한 1.54 %를 정・부방향 모두 상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능력과 함께, PC 벽 구조는 초기 강성 확보, 즉 구조해석 및 설계를 통하여 산정한 허용층간변위각에 도달하기 전에 설계공칭강도가 발현될 수 있어야 한다. Fig. 7의 하중-변위곡선에서 공칭강도인 $P_{n}$은 실제 하중작용 시 부재에 작용하는 최대하중에 가깝다. 실험결과에서 PCWP-1과 PCWP-2 실험체는 $P_{n}$이 부재항복을 지나 비선형구간에 있는 반면에 PCWC-1과 PCWC-2 실험체는 $P_{n}$이 탄성구간 내에 있다. PCWC-1과 PCWC-2 실험체는 설계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초기 강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PCWP-1과 PCWP-2 실험체는 초기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 두 실험체의 낮은 초기 강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강재 박스 내 하부 돌출 볼트 연결 시 너트 조임 부족에 의한 영향으로 보여진다.

각 실험체의 스텝별 정・부방향 첫 번째 사이클 최대변위 꼭지점을 서로 이은 강성의 변화를 나타내면 Fig. 9와 같다. 접합부를 1.5배 강하게 설계한 PCWP-2와 PCWC-2 실험체의 강성이 PCWP-1과 PCWC-1 실험체와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박스형 강재 이음과 주름관 이음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10은 실험체들의 각 스텝별 첫 번째 사이클의 소산에너지를 나타낸다. PCWP-1 실험체가 가장 낮은 값CWC-2 실험체가 높은 소산에너지를 보인다. 특히 변위각 1.5 %를 초과한 이후에는 주름관으로 이음된 PCWC-2 실험체의 사이클당 소산에너지가 높은 양상을 보인다. 이들 사이클당 소산에너지를 탄성에너지에 비율로 나타내고 이로부터, 에너지 소산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Fig.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스텝별 첫 번째 사이클에 대하여 상대 에너지 소산율을 나타내면 Fig. 12와 같다. PCWC-1 실험체가 가장 높은 값을 보이며 변위각 1 % 이후부터는 PCWP-1 실험체가 가장 낮은 값을 보인다. 변위각 1.0 % 이후에 대해서 모든 실험체의 상대 에너지 소산율은 20 %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ACI 550.6(2) 에서는 PC 벽구조에 대하여 특정 사이클에 대하여 최소한의 상대 에너지 소산에너지율 값을 1/8(12.5 %)로 정하고 있다. 이때의 사이클은 식(1) 한계 변위각 부근에서 세 번째 반복된 사이클이다. 실험결과 관찰된 각 실험체의 한계변위각에 대한 상대 에너지 소산율은 Fig. 13과 같다. 제하 시의 기울기가 급격히 감소하지 않음에 따라 모두 12.5 %를 상회하고 있으며 가장 높은 소산율을 보인 실험체는 중반 전후이 쪼그라짐 현상(pinching)이 거의 발생하지 않은 PCWC-1이다.

Fig. 10. Variation of cycle energy

../../Resources/kci/JKCI.2020.32.6.541/fig10.png

Fig. 11. Definition of relative energy dissipation ratio

../../Resources/kci/JKCI.2020.32.6.541/fig11.png

실험체들의 항복 및 최대하중 시의 하중 및 변위값을 정리하면 Table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 12. Variation of relative energy dissipation ratios of first cycle at each step

../../Resources/kci/JKCI.2020.32.6.541/fig12.png

Fig. 13. Relative energy dissipation ratios

../../Resources/kci/JKCI.2020.32.6.541/fig13.png

Table 4. Test result of wall specimens

Specimens name

Yield state

Ultimate state

Ductility

Cycle energy

Relative energy dissipation ratio

$P_{y}$ (kN)

$D_{y}$ (%)

$P_{u}$ (kN)

$D_{u}$ (%)

$D_{u}/ D_{y}$

$D_{f}/ D_{y}$

$E_{c,\:u}$ (kN.mm)

$DER_{u}$ (%)

PCWP-1

+

184.93

0.24

237.45

1.11

4.73

6.69

5,280.8

21

-

180.22

0.26

239.32

1.09

4.17

4.86

PCWP-2

+

276.36

0.44

374.75

1.57

3.53

4.83

14,139.9

24

-

286.36

0.45

383.77

1.54

3.45

4.55

PCWC-1

+

177.09

0.25

239.61

2.19

8.79

11.08

15,926.8

31

-

160.62

0.17

218.83

1.10

6.35

15.99

PCWC-2

+

294.29

0.46

387.39

1.56

3.44

4.69

15,003.3

25

-

281.46

0.32

373.77

1.57

4.92

6.94

$D_{f}$ is drift at failure, $E_{c,\:u}$ is cycle energy at ultimate state, $DER_{u}$ is the relative dissipation energy ratio of the first cycle at ultimate state

3.3.4 수직철근 및 연결재의 변형도

실험동안 각 실험체의 수평접합부를 관통하는 수직보강철근의 변형률 변화는 Fig. 14와 같다. 그래프에서 변형률을 나타내는 수평축에 수직으로 표시된 점선은 철근의 항복변형도를 나타낸다. 모든 실험체에서 부방향 횡력이 작용할 때, 해당 수직보강철근에 인장응력 발생하고 있다. PCWC-1과 PCWC-2 실험체는 수직보강철근에 높은 변형이 발생하여 인장항복이 발생한 반면에 PCWP-1과 PCWP-2 실험체들의 철근은 0.002 이상의 변형률을 보이지만 실제 항복변형률에는 도달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전술한 볼트 조임 문제에 의해 수직보강철근 연결부에서 분리가 예상보다 일찍 발생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Fig. 14. Strains of vertical bars at horizontal joints

../../Resources/kci/JKCI.2020.32.6.541/fig14-1.png../../Resources/kci/JKCI.2020.32.6.541/fig14-2.png

../../Resources/kci/JKCI.2020.32.6.541/fig14-3.png../../Resources/kci/JKCI.2020.32.6.541/fig14-4.png

3.3.5 실험체의 내력 평가

실제 벽체의 설계 절차에 따라 철근과 강재의 항복강도 그리고 콘크리트 재료 시험 결과를 적용하여 각 실험체의 내력

Table 5. Comparison of strength between calculation and test results

Specimens name

Wall

Joint

$P_{u}$

$P_{u}/P_{n}$

$V_{n}$

$P_{n.h1}$

$P_{n.h2}$

$V_{n}$

$V_{nf}$

$P_{n.h3}$

PCWP-1

+

726

545

384

686

691

229

237.45

1.04

-

239.32

1.05

PCWP-2

+

727

686

501

688

1,181

353

374.75

1.06

-

383.77

1.09

PCWC-1

+

725

423

311

686

490

143

239.61

1.68

-

218.83

1.53

PCWC-2

+

726

548

424

687

896

249

387.39

1.56

-

373.77

1.50

$V_{n}$: shear strength, $V_{nf}$: shear friction strength, $P_{n}$: maximum strength calculated by the analysis, $P_{u}$: experimental results maximum load, $P_{n.h1}= M_{n}/h_{w1}$, $P_{n.h2}= M_{n}/h_{w2}$, $P_{n.h3}= M_{n}/h_{w3}$, $M_{n}$: moment strength, $h_{1}$: 2.86 m (loading point from the bottom of the upper wall), $h_{2}$: 3.29 m (loading point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bottom wall), $h_{3}$: 3.0 m (loading point from the center of the joint)

을 산정하였다. 실험체의 내력 계산을 위하여, 설계기준(KCI 2017)의 식(2)~(5)로 실험체의 전단강도($V_{n}$) 및 전단마찰강도($V_{nf}$)를 산정하고, 실험체의 휨 강도($M_{n}$)는 식(6)과 단면 해석 프로그램(X-Tract)을 통해 산정하였다. 해석으로부터 구한 휨내력을 높이로 나눔으로서 실험체의 횡방향 최대내력($P_{n}$)을 산정하였다. 실험결과와 산정한 실험체의 최대내력은 Table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산정한 결과, 접합부에서의 휨 강도가 지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산된 내력($P_{n}$)과 실험내력($P_{u}$)를 비교한 결과, 비($P_{u}/P_{n}$)가 강재박스 볼트연결 상세의 경우에는 1.04~1.09, 주름관 이음인 경우에는 1.5~1.68로 나타나 현행 구조설계기준을 충족하는 구조성능을 보유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2)
$V_{n}=V_{c}+V_{s}$

(3)
$V_{c}=(0.16\lambda\sqrt{f_{ck}}+1.76\rho_{w}\dfrac{V_{u}}{M_{u}})b_{w}d$

(4)
$V_{s}=\dfrac{A_{v}f_{yt}d}{s}$

(5)
$V_{nf}=F_{r}=A_{vf}f_{y}\mu =A_{vf}f_{y}(0.7\lambda)$

(6)
$M_{n}= A_{s}f_{y}(d-\dfrac{a}{2})$

(7)
$P_{n}=\dfrac{M_{n}}{h}$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식구조에서, 상하 벽체가 만나는 수평접합부 수직보강철근 연결방식과 접합부 설계개념에 따른 PC 벽식구조의 횡력에 대한 거동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현행기준(KCI 2017)(6)에 따라 대상 건물의 벽체에 작용하는 응력에 대한 강도설계를 한 경우와 ACI 318-19(1) 18.5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 전단벽에 요구되는 설계조건(ACI 2019)(2)을 적용하여 접합부 항복강도의 1.5배가 발휘될 수 있도록 설계한 실험체들의 보유내력은 모두 공칭강도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현행기준에 따라 PC 벽구조 설계 시 작용하중에 대한 강도안전성은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강재 박스 내 볼트연결 방식의 경우에는 시공 중 볼트연결부에서 충분한 정착이 될 수 있도록 엄격한 품질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PC 벽체에 대한 반복횡력 실험결과, 강재 박스 내 볼트연결 방식과 주름관 이음방식으로 설계할 경우, 볼트 연결부 체결에 문제가 있는 PCWP-1 실험체를 제외한 모든 실험체의 보유 변형능력은 2.0 % 이상으로서, ACI에서 정하고 있는 한계변위각 1.54 %를 초과하였다. 또한 한계변위각의 세 번째 사이클의 상대에너지 소산율이 ACI에서 정하고 있는 한계값인 12.5 %를 모두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PC 벽구조는 내진설계에 활용 가능한 구조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GS건설(주), 한성PC건설(주), (주)세안PC, Peikko Group, (주)에센 D&T의 공동연구비지원과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과제번호 20ORPS-B158109-01)으로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ACI Committee 318 , 2019,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318-19),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Google Search
2 
ACI Innovation Task Group 5 , 2019, Acceptance Criteria for Special Unbonded Post-Tensioned Precast Structural Walls Based on Validation Testing (ACI 550.6-19),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Google Search
3 
Ahn B.-I., Kim H.-K., Park B.-M., 2003, Confining Effect of Mortar Grouted Splice Sleeve on Reinforcing Ba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5, No. 1, pp. 102-109DOI
4 
FEMA , 2003, NEHRP Recommended Provisions for Seismic Regulations For New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FEMA 450), Washington, D.C.; Building Seismic Safety Council, Vol.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pp. 167-168Google Search
5 
Hidalgo P. A., Ledezma C. A., Jordan R. A., 2002, Seismic Behavior of Squat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s, Earthquake Spectra, Vol. 18, No. 2, pp. 287-308DOI
6 
KCI , 2017, KCI Model Code 2017 (KCI M-18-006), Seoul, Korea; Kimoondang Publishing Company.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In Korean), pp. 121-372Google Search
7 
Kim S.-K., 2018, Structural Performance of Horizontal Joint of Precast Concrete Structural WallGoogle Search
8 
Kim S.-K., Seo S.-Y., Kim S.-H., Lim B.-H., Cha J.-W., 2019, Hysteretic Characteristic of Precast Concrete Wall with Box Type Connector for Vertical Bars under Horizontal Load,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1, No. 2, pp. 153-163Google Search
9 
Lee H.-S., 1993, Shaking Table Tests of 1/3-Scale 3-Story Wet- Jointed Precast Concrete Large Panel Box Model,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5, No. 1, pp. 115-127Google Search
10 
Oh Y.-H., Moon J.-H., 2013, Analyt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on Splice Sleeves for SD500 Rebar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5, No. 2, pp. 165-173DOI
11 
Park R., 1989, Evaluation of Ductility of Structures and Structural Assemblages from Laboratory Test, Bulletin of the New Zealand National Society for Earthquake Engineering (NZSEE, Vol. 22, No. 3, pp. 155-166DOI
12 
PGC , 2014, Peikko Group Technical Manual: SUMOⓇ Wall Shoe for Bolted Wall Connections, Lahti; Finland. Peikko Group Corporation (PGC)Google Search
13 
Seo S.-Y., Jeong B.-O., Yi W.-H., Lee L.-H., 1994b, Compressive Strength of Horizontal Joints in Precast Concrete Large Panel System,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6, No. 2, pp. 138-147Google Search
14 
Seo S.-Y., Li L.-H., Hawkins N. M., 1998, The Limiting Drift and Energy Dissipation Ratio for Shear Walls Based on Structural Testing,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0, No. 6, pp. 335-343DOI
15 
Seo S.-Y., Yi W.-H., Lee L.-H., 1994a, Shear Strength of the Vertical Joints in Precast Concrete Large Panel Structure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6, No. 1, pp. 111-119DOI